
WebRTC는 개인간 연결(P2P)를 기본으로 한다. 실행되는 단말기(PC, 휴대폰 등)가 공인 IP를 가지거나 같은 네트워크(공유기)안에서 서로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.
즉 Peer가 같은 공유기 안에서 움직여야 통신을 할 수 있다는 말이다. Peer 하나가 공유기 안에 있고, 또 다른 Peer가 공유기 밖에 있다면 통신을 할 수 없다.
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coturn에 대해서 알아보자.
https://forest71.tistory.com/215
WebRTC 외부에서 사용하기 – coturn
WebRTC는 개인간 연결(Peer to Peer)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실행되는 단말기(PC, 휴대폰등)가 공인 IP를 가지거나 같은 네트워크(공유기) 안에서 서로 인식 할 수 있어야 한다. 하나는 공유기 안
forest71.tistory.com
https://github.com/coturn/coturn
GitHub - coturn/coturn: coturn TURN server project
coturn TURN server project. Contribute to coturn/coturn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github.com
https://my-first-programming.tistory.com/entry/AWS-EC2-COTURN-%EC%84%9C%EB%B2%84
AWS EC2 / COTURN 서버
WEB_RTC 프로젝트 중 프로젝트를 같이 진행하던 분과 테스트를 해보니 STUN 서버만으로는 불가능 하더라구요. 그래서!! TURN 서버를 사용하기로 했습니다. 그래서 AWS EC2에 node express 서버와 함께 코툰
my-first-programming.tistory.com
'Study > WEBR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ublic Stun Server List (0) | 2022.06.24 |
---|---|
Stun Servers and Friends (0) | 2022.06.24 |
Public Stun Turn Server (0) | 2022.06.24 |
WebRTC 배우기 리소스 (0) | 2022.02.10 |
WebRTC 및 NodeJS로 화상회의를 구현하는 방법 (1) | 2022.02.10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